반응형
수막구균성 수막염
- 수막구균성 감염은 수막염균(수막구균)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며, 수막염과 패혈증을 포함합니다.
- 이 감염은 주로 코 또는 인후의 분비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 일반적으로 몸이 아프고 감염 부위에 따라 심각한 다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 정보
- 발병률 : 인구 10만 명당 10명에서 100명 정도로, 그리 흔한 전염병은 아닙니다.
- 남성이 여성보다 더 잘 걸리며, 전체 환자의 45%가 15세 이하에서 발생합니다.
- 5세 이하의 환자가 27%를 차지하며, 1~10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생합니다.
- 원인균의 90%가 상부 호흡기를 통해 들어오며, 증상으로는 근육통, 관절통, 오심, 구토, 피로, 입술 포진, 혼미, 의식상실, 쇼크 등이 있습니다.
증상
- 초기 증상 : 손목과 발목 등 사지의 피부에 핑크색 발진이 생기며, 점상에서 반상으로 커져 전신으로 퍼집니다.
- 이때 피하출혈, 점상출혈, 결막출혈, 위장 출혈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발진의 변화 : 발진은 물집성, 노포성, 궤양성으로 악화하며, 출혈 부위는 3~4일 후 갈색 또는 청동색으로 퇴색합니다.
전파 경로
- 수막염균은 환자나 보균자의 코 또는 목에서 나온 분비물이나 비말을 통해 호흡기로 전파됩니다.
- 사람 사이에서만 자연 감염으로 유행성 수막염을 일으키며, 저항력이 매우 약한 간접 접촉 전염의 것에는 드뭅니다.
합병증
- 국수 감염증 : 뇌척수막염, 심내막염, 심근염, 심 외막염, 관절염, 안구염 등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급성수막구균혈증 : 발열, 근육통, 두통, 위장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이외에도 부신 출혈, 자반병, 저혈압, 호흡곤란, 청색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
진단 방법
- 증상 : 신체검사, 검사실 검사, 뇌척수액 검사, 분비물 검사 등을 통해 판단하며, 최종 확진은 혈액 배양에서 원인균을 찾아야 합니다.
- 유행 시기에는 원인 불명의 발열, 급작스러운 발병 증세, 피부 발진, 피하출혈, 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균 확인 전이라도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
- 설파제와 항생제를 사용하나, 일부 균종은 설파제와 수막염균 백신에 저항성을 보입니다.
- 치료는 의사 지시에 따라 진행됩니다.
예방 방법
- 보균자를 1~2일간 격리하고, 상부 호흡기 감염을 조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과거에는 이 병으로 70%가 사망했으나, 현재는 설파제와 항생제의 발달로 사망률이 12%로 낮아졌습니다.
- 특히 입원 12시간 전에 피하출혈과 쇼크가 발생하면 예후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결론
-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수막염균에 의해 발생하는 심각한 감염병으로,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됩니다.
- 이 질병은 발병률이 낮지만, 특히 어린이와 노인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초기 증상으로는 발진과 함께 다양한 전신 증상이 나타나며, 합병증으로는 뇌수막염, 심내막염 등 여러 국소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진단은 증상과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 치료에는 설파제와 항생제가 사용되지만, 일부 균종은 저항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예방을 위해 보균자의 격리와 상부 호흡기 감염 예방이 필요합니다.
- 과거에 비해 사망률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주의가 필요한 질병임이 인색해야 합니다.
- 따라서 의심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ruha007.tistory.com/entry/해외 방문시 주의할 점. 계곡열.
계곡열 .밸리피버 개요. Valley Fever.
계곡열(밸리 피버) 개요. Valley Fever.계곡열(밸리 피버)은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진균 곰팡이의 미세한 포자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입니다.이병은 특히 애리조나와 캘리포니아의 샌 호아킨 밸리
ruha007.tistory.com
반응형
'건강 이야기 >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임법. 다양한 피임법의 종류와 선택 기준. (0) | 2025.03.15 |
---|---|
라임병(Lyme Disease). 진드기 물림 병. (1) | 2025.03.14 |
계곡열 .밸리피버 개요. Valley Fever. (0) | 2025.03.13 |
급성 췌장염. 원인, 증상 및 치료. (0) | 2025.03.12 |
A형, B형, C형 간염의 이해 (0) | 2025.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