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뇨병 발검사2 당뇨병 관리 수칙 7가지. 합병증 없이 건강하게 사는 당뇨병 관리수칙 7가지 01. 당뇨병 약물치료와 식사조절, 운동 병행 혈당을 높이는 평소의 식습관을 바꾸고 활동량을 늘려야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어 안정적인 혈당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 의사의 권고가 있을 경우 약물치료까지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입니다. 02. 당뇨병 자가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혈당을 측정 공복혈당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물도 마시지 않은 상태에서 혈당을 잽니다. 당뇨병 초기에는 공복혈당이 90~130mg/dL 미만이 되도록 목표를 정하고 점차 110mg/dL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식후 2시간 혈당 식사를 시작하는 시점부터 2시간 후의 혈당을 잽니다. 당뇨병 초기에는 식후 2시간 혈당이 18ㅕ0mg/dL 미만이 되도록 목표를 정.. 2023. 4. 10. 당뇨병 합병증 정밀 진단 검사 종류. 매년 정기 검진 1회~2회 당뇨병 합병증 감시 정밀 진단 검사. 매년 정기검진 1회~ 2회 혈당 관리를 아무리 잘해도 합병증으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로울 수는 없는 것이 당뇨병 환자의 숙명입니다. 따라서 혈당이 잘 조절되고 있는 사람이라도 병원 정기검진은 평생에 걸쳐 받아야 합니다. 혈관이나 신경에 이상이 없는지, 손상되기 쉬운 장기의 기능은 정상인지. 혈중지질농도나 혈압이 당뇨합병증을 유발할 만큼 위험한 수준은 아닌지 등을 정밀검사를 통해 확인해야만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병원 검진 횟수는 혈당이 얼마나 잘 조절되는지에 따라, 합병증 발병 여부에 따라 달라지므로 담당의가 지정해 주는 횟수를 지키는 것이 정답입니다. 병원을 방문할 때는 평소의 혈당수치를 기록한 수첩을 반드시 지참해야 하며 의료진의 관리하에 체.. 2023. 4.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