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살빼기 프로젝트

퇴행성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다공증

by ruha 2023. 6. 20.
반응형

퇴행성 관절염과 류머티즘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과 류머티즘성 관절염은 전혀 다른 질병입니다.

 

퇴행성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다공증.
골다공증.퇴행성관절염.류머티즘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은 뼈의 발단 부위에 연결된 관절 연골의 변형으로 생깁니다.

관절의 연골이 약해지고 관절 표면과 그 주위에 비정상적으로 뼈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비염증성 관절 질환입니다.

남녀가 거의 비슷한 발병률을 보이지만 특히 여성에게 침범되는 관절 수가 더 많고 남성에서는 고관절(골반과 넓적다리뼈를 잇는 관절)에 침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의 주요 증상

퇴행성 관절염의 중요증상은 관절 통증과 관절 변형입니다. 

 

 

관절 통증

  • 퇴행성 관절염의 중요증상의 처음은 장거리 보행 후 또는 무리한 운동 후에 나타납니다.
  •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조금만 걷거나 관절을 굽혔다 펼 때도 통증이 유발됩니다.
  • 관절이 움직일 때마다 뚝하는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 관절 변형도 동반되어 퇴행성 관절염이 잘 생기는 무릎 관절의 경우 관절이 붓고 관절 내 물이 고이며, 더욱 심해지면 다리가 오자형 또는 그보다 더 심한 변형이 생기기도 합니다.

 

손가락 관절

  • 손가락 관절 침범 시 손가락 마디가 튀어나와 반지가 잘 안 빠지기도 합니다.
  • 관절의 강직도 퇴행성 관절염에 의해 생기는 증상으로 각 관절을 움직이기가 불편하고 뻣뻣합니다.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관절의 연골이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40~50세가 넘으면 오는 병으로 나이가 들수록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거의 모든 사람에게 발병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만의 증가로 다른 만성 질환과 마찬가지로 퇴행성 관절염도 그 발병 연령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고령화로 인해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로 무릎, 엉덩이, 허리뼈, 목, 손목 등의 관절에 증상이 나타나며 통증, 운동 제한, 관절 강직 등이 대표적 증상입니다.

 

 

 

예방과 치료의 중요성

퇴행성 관절염은 예방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관절을 지탱하는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일수록 무릎 굽힘 운동, 스트레칭 등의 운동을 꾸준히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머티즘성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의 원인은 미상의 만성적인 전신 염증 질환으로 관절의 윤활 조직에 주로 침범하여 관절 파괴, 변형, 장애를 일으키는 병입니다.

인종에 관계없이 전체 인구의 1.0%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성과 35~50세 연령에서 특히 자주 발병합니다.

 

 

류머티즘성 관절염 주요 증상

류머티즘성 관절염은 면역계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관절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만성서 질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중년 이후에 많이 발생하며 손, 발, 무릎, 관절 등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양한 증상이 있으며 관절강직, 운동 제한, 통증 등 일상생활의 질을 악화시키는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두 질환은 발병 연령, 발병 부위, 증상의 양상 등이 서로 달라 어렵지 않게 구별할 수 있으며 보통은 40세 이후 시작하고 무릎, 허리, 발목에 주로 증세가 있는 것은 거의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보면 됩니다. 또 손 주위 관절이 먼저 붓고 통증이 생기면 류머티즘성 관절염으로 의심이 됩니다.

류머티즘성 관절염은 적극적인 치료로 관절의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계를 조절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은 흔히 오인되는 것으로 골다공증이 있습니다.

골다공증은 관절이 아닌 뼈가 약해지는 병입니다.

골다공증은 통증이 없고 쉽게 뼈가 부러지는 것이 대표적인 증세이지만 관절염은 통증이 주 증세입니다.

골다공증을 위한 호르몬 치료하면 관절 증세가 호전되기도 하여 같은 질환으로 혼동되기도 하지만 골다공증에 쓰는 칼슘과 비타민 D, 호르몬이 아닌 약들은 퇴행성 관절염에는 전혀 작용하지 않습니다.

여성이 폐경이 되면 대개 이 두 질환이 같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통증이 원인은 골다공증이 아니라 퇴행성 관절염 때문입니다.

 

 

 

 

퇴행성 관절염과 류머티즘성 관절염

식이 요법과 보조요법

퇴행성 관절염과 류머티즘성 관절염 환자들에게 중요한 관절 건강을 돕는 비타민 C와 D, 오메가3 지방산 등을 풍부하게 함유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물리치료, 안와학요법 등의 보조 요법도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자기 관리와 일생 생활 습관 개선의 중요성

퇴행성 관절염과 류머티즘성 관절염 환자들은 일상생활 습관 개선과 자기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체중 관리와 운동 등을 실천함으로써 퇴행성 관절염과 류머티즘성 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의 주원인이라고 하는 비만과 운동

퇴행성 관절염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원인은 비만과 운동 부족입니다.

정상 체중보다 많이 나갈수록 체중을 받치는 각 관절의 부하가 커지게 되고 운동이 부족하면 관절을 지지하는 근육 및 인대의 힘과 유연성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오래 서 있는 사람

흔히 오래 서 있거나 오래 걷는 시간이 많은 사람에게 관절염이 잘 생긴다는 말이 있습니다.

오래 서 있으면 운동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 이런 행위는 관절에 무리가 가기 때문입니다.

신발과 구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바닥이 딱딱한 신발과 여성의 하이힐은 관절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관절염에 약물, 보조 식품과 주사

관절이 아플 때 사람들은 보통 약물, 건강 보조 식품, 주사 등의 요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가 근본적인 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치료가 아님을 많은 사람이 경험을 통해 알게 됩니다.

물론 이러한 요법들을 사용하면 통증이 완화되고 못 쓰던 관절을 쓸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을 지속할 경우

통증과 염증을 줄여주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증상이 호전된 것 같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관절의 마모를 지속시킬 수 있어 실제로는 관절염이 더 악화할 수도 있습니다.

 

 

관절염의 근본 치료

관절염의 근본 치료는 체중 감량과 체중을 싣지 않고 하는 운동입니다.

 

반응형

댓글